1. 구두 발표
지속가능발전교육
▪ 지속가능발전교육(ESD) 교과중점 교육과정의 운영과 과제
- 안재정(송내고등학교)
▪ SDGs 시대 청소년 역량 개념에 대한 기초 연구
- 황세영(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)
▪지속가능한 지역사회 만들기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 사회참여활동의 의미
- 주형선(한국방송통신대학교)
▪ 학교 환경교육에서 시스템 접근법의 활용방안
- 이승준(한국환경정책·평가연구원)
환경과 환경교육 Ⅰ
▪청주지역의 PM2.5/PM10 비 특성 분석 연구
- 강우경, 문윤섭, 남영숙(한국교원대학교)
▪신 기후체제와 온실가스 환경영향평가
- 김다빈, 남영숙(한국교원대학교)
▪실내 공사시 교사내 공기질의 단계별 관리 방안
- 안영주, 남영숙(한국교원대학교)
▪도요오카 시와 예산군 황새 복원 프로젝트 비교 분석 연구
- 류학렬, 남영숙(한국교원대학교)
학교 환경교육 Ⅰ
▪마인드맵을 통해 살펴본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인식
- 권혜선(단대초등학교)
▪월경성 환경문제를 활용한 수업이 세계시민 의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
- 백종송, 남영숙(한국교원대학교)
▪해양환경소양에 기초한 해양환경교육 교재 개발 연구
- 장미정1, 임수정1, 정철2, 홍선욱3, 이종명3
(1(사)환경교육센터 모두를위한환경교육연구소, 2대구대학교, 3(사)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)
환경과 환경교육 Ⅱ
▪환경영향평가의 자원순환 관련 평가항목에 대한 고찰
- 정호규, 남영숙(한국교원대학교)
▪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대규모 농지활용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도입 제안
- 류학렬, 남영숙(한국교원대학교)
▪유해녹조 저감을 위한 수질환경영향평가 개선 방안 연구
- 장진주, 남영숙(한국교원대학교)
▪야간 조명 빛공해로 인한 환경영향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: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
- 강한별, 남영숙(한국교원대학교)
대만 환경교육
▪To create a campus learning space that students love to go: An example of Nan-Shi elementary school, Taoyuan City, Taiwan
- Liu, Yun-Chieh(Chung-Ping Elementary School)
▪“Safety Management on Water Activities” from the perspective of outdoor education courses: An example of “Stream and Water Resources Courses” held by Wulaokung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in Taiwan
- Wang, Chun-Liang(DA JIN Primary School)
▪The practice of introducing “Maker” concept into environmental education
- Hsu, Ching-Hung(Dashan Elementary School, Miaoli County)
▪Institutionalization of EE in Taiwan
- Hsu, Yi-Hsuan(Aletheia University) -----------원고 없습니다
환경교육 일반
▪한국 환경교육 현황조사 연구
- 최돈형1, 조성화2, 김찬국3, 이성희4, 장미정5, 차수철6, 장영효1, 최수경1, 박지나1
(1국가환경교육센터, 2수원시기후변화체험교육관, 3한국교원대학교, 4경인교육대학교, 5환경교육센터, 6광덕산환경교육센터)
▪자유학기 교재 ‘꿈꾸는 환경교실 세상을 품다’ 활용 사례
- 정 철, 배영미, 박혜경(대구대학교)
▪자유학기제 교육을 통한 환경관련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
- 한명근1, 김지혜1·, 이한솔1·, 박인환2(1·강원도 환경보전협회, 2경북대학교)
▪환경교육장으로서 교육농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: 교육농장을 중단한 농장주의 경험을 중심으로
- 안새롬(서울대학교)
학교 환경교육 Ⅱ
▪환경영향평가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환경역량 신장에 미치는 영향
- 김호, 남영숙(한국교원대학교)
▪2015개정 초등교육과정에서 환경영향평가 활용 가능성 연구
- 최연정, 남영숙(한국교원대학교)
▪환경영향평가를 활용한 중학교 도덕과에서의 프로젝트 수업모형
- 이지훈, 남영숙(교원대)
▪감정카드를 활용한 환경동화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
- 강원형(서울대학교)
사회 환경교육
▪환경교육 제도의 확산 단계별 사회 환경교육 주체가 경험하는 제도 수용의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
- 최수경(공주대학교)
▪환경교육 단체·기관의 연결망 분석: 화성시와 안산시를 중심으로
- 강진영, 안새롬, 천향온(서울대학교)
▪환경교육에 대한 경기도 관계자들의 요구 분석 결과;:경기도환경교육센터의 ‘15년~’17년 요구조사를 중심으로
- 차지영, 김희경(경기도환경교육센터)
▪달성습지 생태안내자 양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
- 정숙자, 박혜경, 정 철(대구대학교)

